CDN(Content Delivery Network)
전 세계에 분산되어 있는 서버들을 통해 사용자에게 웹 컨텐츠를 빠르고 효율적으로 제공하는 기술이다.
웹사이트의 이미지, CSS, JavaScript 파일, 동영상 등 정적 컨텐츠를 사용자와 물리적으로 가까운 서버에서 전달하는 방식이다.
작동방식
1. 자주 요청되는 컨텐츠를 전 세계 여러 지역에 위치한 엣지 서버(Edge Server)에 캐싱한다.
2. 사용자가 웹사이트에 요청을 보낼 때, DNS를 통해 가장 가까운 엣지 서버로 트래픽이 라우팅되어 처리되도록 한다.
기대효과
CDN을 적용하면 컨텐츠 요청이 매번 원본 서버에 직접 전달되지 않는다.
1. 트래픽을 분산시키는 효과가 있다.
2. 대규모 트래픽이 발생하더라도 안정적으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3. 물리적으로 가까운 위치에서 컨텐츠를 전송하므로 속도가 빠르다.
적용 예시
1. 세계 여러 국가에서 서비스에 방문하는 경우
만약 CDN을 적용하지 않은 한국 서비스에 브라질 사용자가 방문했다면, 방문자의 위치와 서버의 위치가 물리적으로 멀기 때문에 지연 시간이 길다.
반면, CDN을 적용하여 브라질에도 엣지 서버가 있다면, 브라질 사용자가 요청할 경우 가까운 위치에 있는 해당 서버를 통해 빠르게 응답할 수 있기 때문에 지연 시간이 짧다.
2. 대량 트래픽이 발생하는 경우
CDN을 적용하면 엣지 서버들로 트래픽이 분산되기 때문에, 대량 트래픽이 발생해도 비교적 안정적으로 처리가 가능하다.
또한, 하나의 서버에 장애가 생기더라도 다른 엣지 서버들을 통해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예기치 못한 장애에 대응하기에도 용이하다.
Cloud서비스 중 CDN 서비스는 무엇이 있을까?
1. Azure CDN
Azure CDN은 전 세계에 분산된 에지 서버를 통해 콘텐츠를 빠르고 안정적으로 전달하는 서비스이다.
특징
1. 다양한 CDN 제공자 통합: Azure는 Akamai, Verizon, 그리고 자체 CDN 등 세 가지 옵션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2. 동적 사이트 가속화(Dynamic Site Acceleration): 정적 콘텐츠뿐만 아니라 동적 콘텐츠의 전송 속도를 향상시키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쇼핑몰 장바구니와 같은 동적 콘텐츠도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3.Azure 서비스와의 통합: Azure Front Door와의 연계를 통해 고성능, 확장성,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
2. AWS CloudFront
AWS의 CloudFront는 전 세계 에지 로케이션을 활용하여 콘텐츠를 빠르게 전송하는 CDN 서비스이다.
특징
1. 글로벌 에지 로케이션: 전 세계에 분포된 에지 서버를 통해 사용자와의 물리적 거리를 최소화하여 낮은 지연 시간으로 콘텐츠를 제공한다.
2. AWS 서비스와의 연계: S3, Lambda 등 AWS의 다양한 서비스와 통합하여 콘텐츠 호스팅 및 전송을 효율화할 수 있다.
3. 보안 기능: AWS WAF(Web Application Firewall) 및 AWS Shield Standard와 통합하여 DDoS 공격 등으로부터 보호한다.
Azure CDN, AWS CloudFront 비교
Azure CDN은 Azure의 다른 서비스와 원활하게 연동되며, AWS CloudFront는 AWS 생태계 내에서 강력한 통합을 제공
두 서비스 모두 WAF와 DDoS 보호 기능을 제공하지만, 각 플랫폼의 보안 도구와의 통합 방식에서 차이가 있다.
'시스템엔지니어 > CS와 이것저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엔드] 암호화 방식: 대칭키, 비대칭키 (0) | 2025.04.02 |
---|---|
[프로토콜] MCP는 API의 다음 세대?, Copilot Agents (0) | 2025.03.31 |
[프론트엔드] 프로토타입 상속의 동작 방식 (0) | 2025.03.29 |
[백엔드] 연결 리스트, 포인터로 연결하여 관리 (0) | 2025.03.28 |
[프론트엔드] BFF, MSA아키텍처에서 중간자 역할 수행 (1) | 2025.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