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I 7 계층이란?
- ISO(국제표준화기구)에서 개발한 모델
- 네트워크에서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7단계로 나눈 것
- 다른 제조업자의 시스템이라도 네트워크 유형에 관계없이 상호통신이 가능한 지침
- 일반적인 통신 환경에서 서로 통신을 원하는 양 당사자의 신뢰성 있고 원활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규약
OSI 7 계층을 나눈 이유
- 흐름을 한눈에 알아보기 쉽고, 사람들이 이해하기 쉽다.
- 여러 네트워크 장비를 사용해도 호환이 가능하다.
- 문제해결이 편하다.
- 데이터 캡슐화
OSI 7 계층의 순서
- 하위계층(물리 > 데이터 링크 > 네트워크) > 상위계층 (전송 > 세션 > 표현 > 응용)
1계층 물리계층
- 전기 신호의 변환 및 제어 역할과 시스템 간의 물리적 연결을 담당합니다.
- 전기 신호의 변환 및 제어 역할과 시스템간의 물리적 연결을 담당합니다.
> 단순 데이터의 전달
2계층 데이터링크 계층
- 디지털 신호를 받아서 이더넷 헤더와 트레일러가 추가하여 프레임을 만들어 줍니다.
*이더넷 헤더 : 목적지MAC주소,출발지MAC주소,이더넷 유형
*맥주소 : 물리주소, 제조사 번호와 제조사의 일렬번호로 구성된 유일한 번호
*트레일러 : 오류검출
- 디지털 신호를 받아서 이더넷 헤더와 트레일러가 추가하여 프레임을 만들어 줍니다.
3계층 네트워크 계층
- 네트워크 간의 라우팅을 담당하며 IP주소를 정하고 경로에 따라 패킷을 전달한다.
*라우팅 :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가장 안전하고 빠르게 전달
*IP (Internet protocol)
네트워크에서 어떤 정보를 수신하고 송신하는 통신에 대한 규약
*IP 주소(IP Address)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각 컴퓨터들이 갖고 있는 숫자로 이루어진 고유 주소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로 나뉜다.
IP 주소를 통해 host들을 구분하여 데이터를 정확하게 송수신 할 수 있다.
네트워크 내에서 호스트 IP는 각자 달라야 한다.
*서브넷(Subnet)
IP 주소에서 네트워크 영역을 부분적으로 나눈 부분 네트워크
IPv4 주소의 고갈되는 속도를 늦추기 위해 사용
*서브넷 마스크(Subnet mask)
서브넷을 만들 때 사용되는 것
IP주소 체계의 Network ID 와 Host ID를 분리하는 역할
주어진 IP 주소가 어느 네트워크 대역인지를 설정 혹은 명시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마스킹(표시) 개념
*서브네팅(subnetting)
서브넷 마스크를 이용하여 원본 네트워크를 여러 개의 네트워크로 분리하는 과정
논리곱(AND)연산 활용
*기본 서브넷 마스크
네트워크 주소를 서브넷 마스킹 처리한 것
= 클래스
4계층 전송계층
- 데이터를 받아서 TCP Segment 혹은 UDP Segment 중 하나의 전송 계층 헤더를 데이터에 붙여 캡슐화 한다.
*GATEWAY
한 네트워크 대역에서 IP통신으로 다른 대역 및 대상으로의 이동하기 위해서는 연결 통로가 필요하며 이를 Gateway라 한다.
OSI 7 계층에서 전송 계층에 해당하는 기기
Hop count = 2
*GATEWAY
OSI 7 계층 가운데 어느 곳에서도 동작이 가능
- 하위계층(1-3 LAYER)에서 주로 라우터가 이러한 역할
- 상위계층(4-7 LAYER)에서 상이한 프로토콜들 간의 특수한 변환을 담당하는 복잡한 S/W를 수행하는 서버를 의미하기도 합니다.
- 예를들어 전자우편을 여러 양식으로 바꿔주는 MAIL GATEWAY가 있다.
5계층 세션 계층
- 통신 장치 간 상호작용을 설정하고 유지하며 동기화한다.
*동기점 : 임의의 시점에서 특정 지점에서 복구할 수 있도록 표시
*대화 : 데이터전송과정, 시간 경과에 따른 순차적으로 동기점을 부여하여 신뢰성 보장
6계층 표현계층
- 입출력 되는 데이터에 대해 변환, 암호화, 압축을 수행
- 예시로 JPG, GIF, MPG와 같은 확장자가 있다.
*변환 : 다른 부호화 방식을 사용하는 송수신 시스템간의 상호 호환성 제공
*암호화 :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해 함호화 알고리즘으로 데이터를 변조하는 기능
*압축 : 제한된 네트워크 전송 효율을 높이기 위해 문자, 오디오, 비디오 등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비트 수를 줄여 전송
7계층 응용계층
- 최상위 계층으로 사용자의 데이터 처리를 도와줌
- 사용자와 응용프로그램 사이에서 데이터 송수신을 처리
*데이터 처리 : 워드프로세서, 엑셀
*데이터 송수신 처리 서비스 : 텔넷
*데이터 송수신 처리 프로토콜 : 전자메일 프로토콜(SMTP), 파일 전송 프로토콜(FTP),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HTTP)
'시스템엔지니어 > Serv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Hyper-V 가상 스위치 만들기, 가상 컴퓨터 만들기 끝판왕 (0) | 2022.10.21 |
---|---|
Hyper-V 설치와 설치 확인 방법 끝판왕 (0) | 2022.10.21 |
DNS개념과 DNS 쿼리 과정 예시 (전달자, 조건부 전달자) 끝판왕 (0) | 2022.10.21 |
서브넷 마스크의 클래스와 예제 풀이 끝판왕 (0) | 2022.10.21 |
IP, SUBNET, GATEWAY 의 개념 끝판왕 (0) | 2022.1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