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acle 2

[SQL]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와 비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와 비관계형 데이터베이스 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방식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각 데이터베이스의 특징, 장단점을 이해하면 프로젝트의 요구사항에 가장 적합한 데이터베이스를 선택하는 데 도움이 된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RDBMS)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를 테이블 형식으로 저장하고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이다.각 테이블은 고정된 스키마를 가지며, 행(Row)은 개별 레코드, 열(Column)은 속성을 나타낸다. 각 테이블은 고유한 스키마를 가지고 있어, 데이터 타입과 구조가 엄격하게 정의되어 있다. 대표적인 예로는 MySQL, PostgreSQL, Oracle이 있다.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정형화된 데이터를 다룰 때 특히 유용하다. 미리 정의된 타입과 구조가 있기 때문에 이에 부합하는지..

[SQL] NOT IN 쿼리를 사용할 때 발생하는 문제점과 해결방법

NOT IN쿼리는 직관적이고 사용하기 쉬운 SQL 구문이지만, 대규모 데이터셋을 처리할 때 심각한 성능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NOT IN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효율적인 쿼리를 작성하기 위한 대안을 알아보겠습니다. 문제점NOT IN은 부정 조건으로, 대부분의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에서 전체 테이블 스캔이나 인덱스 풀 스캔을 유발한다. 이는 데이터베이스 옵티마이저가 효율적인 실행 계획을 세우기 어렵게 만들고, 쿼리 성능을 저하시키는 주요 원인이다.SELECT *FROM ordersWHERE customer_id NOT IN (SELECT id FROM inactive_customers); 전체 테이블 스캔: NOT IN은 주어진 조건에 맞지 않는 레코드를 찾기 위해 테이블의 모든 데이터를 읽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