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신문 스크랩

[업계동향:AI]"글로벌기업 임원 75%, 생성AI로 3년내 조직 대전환"

순제로 2024. 1. 17. 12:24
728x90

출처

https://zdnet.co.kr/view/?no=20240117093238

 

"글로벌기업 임원 75%, 생성AI로 3년내 조직 대전환"

글로벌 기업 임원 75%는 3년 내 생성AI가 조직 대전환을 불러올 것이라고 전망한 설문조사보고서(서베이)가 발표됐다. 이들은 AI 도입을 가로막는 가장 큰 장애물로 기술 ...

zdnet.co.kr

분야

IT, AI

 

본문 요약

1. 딜로이트, 다보스에서 서베이 결과 발표...AI도입 가장 큰 장애는 기술인력과 스킬 부족

이번 서베이는 현재 생성형AI 관련 기업의 인식과 행동을 조사해 향후 생성형AI가 어떠한 방식으로 도입돼 가치가 실현될지를 예측하기 위해 실시했다.

2. 생성AI 전문성 재빨리 확보한 기업, 이미 가치 실현 중

현재로서는 대부분이 조직의 성장과 혁신 강화 등 장기적 비전보다 효율성 개선과 비용 절감 등 즉각 눈에 보이는 이점에 초점

매우 높은 전문성을 지닌 리더들이 이끄는 기업은 생성형AI를 받아들이는 방식이 여타 기업과 달랐다. 이들 중 이미 제품 개발과 연구개발(R&D)에 생성형AI를 본격 도입했다는 비율이 73%에 달해, 이미 혁신과 성장 가치를 실현하고 있음을 나타냈다.

생성형AI에 대한 신뢰는 높은 반면 불확실성은 낮게 인식하고 있었고, 생성형AI가 가져올 파괴적 변화 가능성도 누구보다 크게 인식하며 준비 태세를 갖추고 있는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기업 임원들, 생성AI 도입 시 인력, 거버넌스, 리스크 관리를 최대 과제로 인식

기업들은 생성형AI 활용 전략과 기술 인프라 등에 대해서는 대체적으로 준비가 돼 있으나, 인력, 거버넌스, 리스크 관리 등은 아직 준비가 미흡해 생성형AI 도입을 가로막는 큰 장애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성형AI 전문성을 재빨리 확보한 기업들은 직원 교육과 재교육에 상대적으로 더욱 많은 노력을 기울였고, 생성형AI 계획을 주도할 기술 인력 확보에 더욱 초점을 맞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거버넌스와 관련해 가장 큰 우려는 △생성형AI의 산출물에 대한 신뢰 문제(36%) △지식재산권 침해 우려(35%) △고객 데이터 오용 문제(34%) △규제 컴플라이언스(33%) △설명가능성 및 투명성 부족(31%) 등이 꼽혔다

4. 생성AI에 따른 경제 불평등 심화 우려도 제기

기업 리더들은 생성형AI가 선사할 비즈니스 기회에 대해서는 기대가 높았으나, 사회 전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보다 비관적 견해

생성형AI 일반화로 세계경제 힘의 집중화(52%) 및 경제 불평등(51%)이 심화될 것이라 답했다.

응답자 49%는 생성형AI 툴과 애플리케이션이 증가함에 따라 국가 기관 및 국제 기구에 대한 대중의 신뢰가 악화될 것이라 우려했다.

딜로이트 컨설팅 LLP의 데보르시 더트(Deborshi Dutt) AI 그로스 오퍼링 리더 “기업들은 그 잠재력을 이제 막 인식하기 시작했으나 아직은 사업 성장의 촉매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생성형AI로 인해 예상되는 업무, 학습, 협력 방식의 변화에 대해 구성원들을 교육, 재교육하는 데 큰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연관기사 링크

 

글로벌 CEO의 2024년 핵심 경영 키워드는 "성장관리, 생성 AI, 인재 확보" - 인공지능신문

글로벌 대표 기업 최고경영자(CEO)들은 경기 불황 전망 속에서도 2024년 경영 기조를 성장관리(Managing Growth)로 삼으면서 자사 성장에 대해 낙관적 전망을 견지하고 있으며 생성 인공지능(Generative AI

www.aitimes.kr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