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70

[Compute] VM 기반의 웹 서비스 구성

Compute다양한 컴퓨트 리소스를 이용한 기본적인 실습 예제를 따라해보자튜토리얼에서 사용하는 카카오클라우드의 자세한 서비스별 문서는 서비스 카테고리에서 확인하실 수 있다. 튜토리얼 구성VM 기반의 웹 서비스 구성카카오클라우드 MemStore를 이용한 채팅 웹 서비스 배포GPU에서 Jupyter Notebook 환경 구성NVIDIA GPU 환경 설정VM을 이용한 MongoDB Replicaset 프로비저닝비디오 트랜스코딩 인스턴스의 성능 테스트Windows 인스턴스에서 WSL(Windows Subsystem for Linux) 사용VM 기반의 웹 서비스 구성3-tier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카카오클라우드에서 웹 서비스를 구성하는 방법 시나리오 소개이 시나리오에서는 3-tier 아키텍처를 활용하여 카카오클라..

[Kubernetes Engine] NFS Client Provisioner 설정

러스터에서 영구 볼륨을 사용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스토리지와 PersistentVolume 객체를 직접 구성해야 합니다. Kubernetes Engine에서는 NFS Client Provisioner를 사용하여 카카오클라우드 File Storage를 영구 볼륨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클러스터에 NFS Client Provisioner를 설치하면, 간단하게 PersistentVolumeClaim를 생성하여 영구 볼륨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NFS Client Provisioner를 설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YAML 파일로 NFS Client Provisioner 배포다음의 명령어를 터미널에 입력하여 NFS Client Provisioner를 설치합니다kubectl --kubeconfig=$KUBE_..

[Kubernetes Engine] kubectl 제어 설정

Step 1. kubectl 클라이언트 설치* 애플 실리콘 맥북 기준 방법 1. macOS에서 curl을 사용하여 kubectl 바이너리 설치 1. 최신 릴리스를 다운로드 curl -LO "https://dl.k8s.io/release/$(curl -L -s https://dl.k8s.io/release/stable.txt)/bin/darwin/arm64/kubectl" 2. 바이너리를 검증(선택사항)체크섬 파일 다운로드 curl -LO "https://dl.k8s.io/release/$(curl -L -s https://dl.k8s.io/release/stable.txt)/bin/darwin/arm64/kubectl.sha256" kubectl 바이너리를 체크섬 파일을 통해 검증echo "$(c..

[K8S] Kubeflow란 무엇일까?

카카오클라우드 서비스 중 AI 서비스로 Kubeflow를 확인할 수 있다.쿠버네티스와 머신러닝, 둘 다 익숙하지 않다면 Kubeflow(큐브플로우)라는 이름 자체가 낯설 수 있다.카카오클라우드 환경에서의 Kubeflow 개념부터 활용까지 알아보자 1. Kubeflow란 무엇인가?Kubeflow는 쿠버네티스(Kubernetes) 환경에서 머신러닝 파이프라인을 손쉽게 구축/관리할 수 있는 플랫폼이다.핵심 목표: 머신러닝을 쿠버네티으 위에서 쉽게 돌리기 주요 특징Jupyter Notebook, 데이터/모델/아티팩트 관리, 파이프라인 자동화 등 머신러닝 실무에 필요한 모든 워크플로우 제공빠른 테스트 -> 실전 운영까지 "일과노딘 환경, 자동화" 보장 2. 카카오클라우드에서 Kubeflow를 쓰는 이유클릭 몇 번..

카테고리 없음 2025.07.20

[K8S] CSI Provisione란 무엇일까?

PVC(Persistent Volume Claim)와 CSI Provisioner의 관계PVC와 CSI Provisioner는 쿠버네티스 저장소 시스템에서 서로 필수적으로 연결되어 작동한다.https://sooonzero.tistory.com/234 [K8S] PVC란 무엇일까?1. PVC란 대체 뭘끼?PVC(Persistent Volume Claim)는 쿠버네티스에게 필요한 저장공간 요청서이다.- PV(Persistent Volume): 실제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진짜 하드디스크 SSD 같은 저장소- PVC(Persistent Volume Claim): 내sooonzero.tistory.com 1. CSI Provisioner란?CSI(Container Storage Interface) Provision..

[K8S] PVC란 무엇일까?

1. PVC란 대체 뭘끼?PVC(Persistent Volume Claim)는 쿠버네티스에게 필요한 저장공간 요청서이다.- PV(Persistent Volume): 실제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진짜 하드디스크 SSD 같은 저장소- PVC(Persistent Volume Claim): 내가 원하는 용량이 필요하다고 쿠버네티스에게 제출하는 신청서 비유를 하자면쿠버네티스 클러스터 = 공장PV = 여러 종류의 창고(내부, 외부, 대형, 소형 등)PVC = 내 앱이 쓸 10GB짜리 창고 하나만 주세요 라고 신청서-> PVC를 쓰면, 내 앱이 저장소에 어떻게 연결되는지 신경 쓸 필요가 없다. 쿠버네티스가 알아서 맞는 창고(PV)에 연결해 주기 때문이다. 2. 왜 PVC가 필요할까?서비스가 죽고 다시 만들어져도 데이터는..

[AI Service] 모델 하이퍼파라미터 튜닝

Kubeflow Katib을 활용하여 트래픽 예측 모델의 하이퍼파라미터를 자동으로 최적화하는시나리오를 진행해보자튜닝 코드 작성부터 Docker 이미지 생성, Experiment 설정 및 실행, 결과 확인까지의 전 과정을 실습할 수 있다. Katib을 활용하려면 다음과 같은 구성 요소가 필요하다하이퍼파라미터를 받아 모델을 학습하는 Python 스크립트 (tune.py)해당 스크립트를 실행할 Docker 이미지 및 종속성 파일 (requirements.txt)실험 실행을 정의하는 Experiment YAML 설정 파일 (katib-experiment.yaml)1. 선행작업Kubeflow 환경이 사전에 구성되어 있어야 한다.사전 준비 사항을 참고하여 CPU 기반 노드 풀 환경 및 PVC 볼륨이 생성되어 있는지..

[AI Service] Kubeflow 기반 트래픽 예측 모델

로드 밸런서(Load Balancer)의 로그 데이터를 기반으로 시간대별 트래픽을 예측하는 머신러닝 모델을 개발하는 시나리오를 진행해보자이 과정을 통해 데이터 전처리, 시각화, 피처 엔지니어링 및 여러 ML 모델 학습과 성능 평가를 단계적으로 알아볼 수 있다. 1. 선행작업Kubeflow 환경이 사전에 구성되어 있어야 한다. 사전 준비 사항을 참고하여 CPU 기반 노드 풀 환경 및 PVC 볼륨이 생성되어 있는지 확인이 필요하다. kubeflow 생성 및 추가 기초적인 작업 과정은 이전 포스팅 참고https://sooonzero.tistory.com/231 [AI Service] Kubeflow를 이용한 Jupyter Notebook 환경 구성카카오클라우드 Kubeflow를 활용해서 Juptyer Note..

[AI Service] Kubeflow를 이용한 Jupyter Notebook 환경 구성

카카오클라우드 Kubeflow를 활용해서 Juptyer Notebook 환경을 만들어보자 1. 선행작업Kubeflow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와 File Storage를 생성하고 설정해야한다. 1.1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생성이 클러스터는 Kubeflow의 다양한 컴포넌트들이 배포될 기반이다. 카카오클라우드 콘솔 > Container Pack > Kubernetes Engine 메뉴에서 [클러스터 생성]을 클릭 클러스터 설정항목내용클러스터 이름k8s-zero-tutorialkubernetes 버전1.30클러스터 네트워크 설정생성된 VPC와 서브넷 항목에서 외부 통신이 가능한 IP 대역의 네트워크 선택 생성 후 Provisioning 상태에서 Provisioned가 될 때 까지 대기노드 풀 ..

[기초] Linux 부팅 과정, 런 레벨, 디렉터리 특징, 파일구조

부팅 8단계로 구성단계진행과정설명1ROM-BIOS 실행POST(Power On Self Test) 과정을 수행 후 하드웨어 이상 유무를 검사한 후 에러가 발생할 경우 알림부트 로더 로딩2부트 로더 실행부트 로더를 실행하여 커널을 로딩하고, 스와퍼 프로세스 호출LiLo와 GRUB가 있음3스와퍼 프로세스 실행장치들의 드라이버 초기화init 프로세스 실행4init 프로세스 실행init 프로세스를 실행하여 /etc/inittab 파일 읽음 5부트 레벨 결정부트 레벨을 설정6rc.sysinit 스크립트 실행/etc/rc.d/rc.sysinit 스크립트를 실행하여 시스템 초기화 작업 수행7rcx.d 스크립트 실행/etc/rcx.d 스크립트를 실행하여 해당 부트 레벨 스크립트를 순차적으로 실행8X 윈도 실행부트 레벨..

공부/Linux 2025.06.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