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HTTPS의 보안 기능에 대해 이해하려면 먼저 대칭키와 공개키(비대칭키)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평문을 암호화하고 복호화하는 경우 키를 사용할 수 있다.

대칭키 암호화(Symmetric Key Cryptography)
: 암복호화에 사용하는 키가 동일한 경우
비대칭키 암호화에 비해서 속도가 빠르다.
대칭키를 교환하는 과정에서 탈취 위험성이 존재한다.
대칭키 암호화 방식에서는 각 통신 참여자 쌍마다 다른 키가 필요할 수 있다. -> 통신 대상이 많아질수록 대칭키의 수가 많아지므로 키 관리가 복잡해질 수 있다.
비대칭키 암호화 , 공개키 암호화(Asymmetric Key Cryptography)
: 암복호화에 사용하는 키가 서로 다른 경우
공개키와 개인키가 존재한다.
송신자는 수신자의 공개키를 이용해 암호화를 수행하고, 암호화된 데이터는 수신자에게 전달한다.
수신자에게 전달된 이후, 수신자는 개인키를 사용해 복호화를 수행한다.-> 대칭키 암호화 방식에서 발생하는 키 교환 문제를 해결하지만, 상대적으로 대칭키 암호화에 비해 느린 것이 단점이다.
암호화를 수행한 자에 대한 검증이나 서명을 위한 용도로 사용하기위해 비대칭키 암호화에서 개인키로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공개키로 복호화하는 경우도 존재한다.
728x90
반응형
'시스템엔지니어 > CS와 이것저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버] Linux와 Windows 서버에 인증서 설치하기 (0) | 2025.04.02 |
---|---|
[백엔드] SSL 인증서와 HTTPS (0) | 2025.04.02 |
[프로토콜] MCP는 API의 다음 세대?, Copilot Agents (0) | 2025.03.31 |
[프론트엔드] CDN 개념과 특징 (0) | 2025.03.30 |
[프론트엔드] 프로토타입 상속의 동작 방식 (0) | 2025.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