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CS 3

[백엔드] SSL 인증서와 HTTPS

SSL 인증서 및 HTTPS 작동 방식앞서 대칭키 암호화와 비대칭키 암호화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제 이러한 암호화 방식을 활용하는 SSL 인증서와 HTTPS에 대해 알아보자SSL(Secure Sockets Layer) 인증서란?SSL 인증서는 웹사이트의 신원을 확인하고, 웹 서버와 브라우저 간의 안전한 연결을 설정하는 데 사용되는 디지털 인증서이다. SSL 인증서는 웹사이트의 공개 키를 포함하며, 이는 방문자의 브라우저가 서버의 신원을 확인하고 안전하게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데 사용된다. SSL은 현재 TLS(Transport Layer Security)라는 이름으로 표준화되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SSL 인증서는 TLS 인증서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다.SSL 인증서의 작동 원리연결 요청..

[백엔드] 암호화 방식: 대칭키, 비대칭키

HTTPS의 보안 기능에 대해 이해하려면 먼저 대칭키와 공개키(비대칭키)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평문을 암호화하고 복호화하는 경우 키를 사용할 수 있다. 대칭키 암호화(Symmetric Key Cryptography) : 암복호화에 사용하는 키가 동일한 경우비대칭키 암호화에 비해서 속도가 빠르다.대칭키를 교환하는 과정에서 탈취 위험성이 존재한다.대칭키 암호화 방식에서는 각 통신 참여자 쌍마다 다른 키가 필요할 수 있다. -> 통신 대상이 많아질수록 대칭키의 수가 많아지므로 키 관리가 복잡해질 수 있다.비대칭키 암호화 , 공개키 암호화(Asymmetric Key Cryptography): 암복호화에 사용하는 키가 서로 다른 경우공개키와 개인키가 존재한다.송신자는 수신자의 공개키를 이용해 암호화를 수행하..

[백엔드] 연결 리스트, 포인터로 연결하여 관리

[연결리스트, 단일 연결 리스트(Singly Linked List)]연결리스트는 리스트 내의 요소(노드)들을 포인터로 연결하여 관리하는 선형 자료구조이다. 각 노드는 데이터와 다음 요소에 대한 포인터를 가지고 있다.첫 번째 노드를 HEAD, 마지막 노드를 TAIL연결 리스트는 메모리가 허용하는 한 요소를 계속 삽입할 수 있다. ->동적크기, 쉬운 삽입 삭제, 필요한 만큼 메모리 할당시각 복잡도는 탐색에는 O(n), 노드 삽입과 삭제는 O(1)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배열은 순차적인 데이터가 들어가기 때문에 메모리 영역을 연속적으로 사용한다.반면, 연결 리스트는 메모리 공간에 흩어져서 존재한다는 점에서 배열과 차이가 있다. [이중 연결 리스트(Doubly Linked List, Circular Linke..

반응형